2026년 1월부터 경남도민연금이 본격 시행됩니다. 이 제도는 은퇴 후 국민연금을 받기 시작하기까지 최대 5년간의 소득 공백을 메우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경남도민연금의 운영 방식
정기 적립과 지방비 지원
경남도민연금은 도민이 일정 금액을 금융기관에 정기적으로 적립하면, 경남도와 시군이 지방비를 정액으로 지원하여 노후 준비를 돕습니다. 퇴직연금(IRP) 제도를 활용하여 운영되며, 납입한 금액과 이자를 더해 최대 10년 뒤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 구조
연간 총납입액 8만 원당 2만 원이 지원되며, 최대 연 24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경남도와 18개 시군이 이 비용을 50%씩 부담합니다.
구분 | 주요 내용 |
---|---|
도입 시기 | 2026년 1월 (예정) |
운영 방식 | 정기 적립 + 지방비 지원 |
운용 제도 | 퇴직연금(IRP) 활용 |
지자체 부담 | 경남도와 18개 시군 50% 부담 |
지원금 | 연간 총납입액 8만 원당 2만 원 |
가입 대상과 자격 요건
연령 및 소득 기준
가입 대상은 만 40세 이상 55세 미만의 경남 도민으로, 연 소득이 9352만 4000원 이하인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을 우선으로 하여 연간 1만 명씩 신규 가입자를 모집할 계획입니다.
모집 계획
모집 시기는 소득 구간별로 나누어 이루어져, 낮은 소득층부터 순차적으로 모집될 예정입니다.
지원금 예시 및 수령액
경남도의 지원금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50세 도민이 매월 8만 원씩 10년간 납입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 총 납입액: 960만 원
- 경남도 지원금: 연 24만 원씩 10년간 총 240만 원
- 총 적립액 (이자 포함, 연복리 2% 가정): 약 1302만 원
- 연금 수령 (60세부터 5년간 분할 수령 시): 매월 약 21만 7000원
이와 같이 개인의 납입금에 지방비 지원과 이자가 더해져, 국민연금 수령 전 소득 공백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준비
경남도는 이 사업의 지속 가능성과 재정 안정성을 위해 ‘도민연금기금’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올해 말까지 시스템 구축과 매뉴얼 개발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경남도민연금은 소득 공백기와 노후를 완벽히 메울 수는 없지만, 도민이 스스로 노후를 준비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경남도민연금 신청 방법은?
경남도민연금은 지정된 금융기관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안내는 경남도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납입을 시작한 후 10년 후에 지원금과 이자를 포함한 총액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소득 공백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부분의 경우, 법정 퇴직 연령이 60세인 반면 국민연금 수급 연령이 65세로 늦춰져 생기는 소득 공백이 주요 원인입니다.
가입 시 유의사항은 무엇인가요?
가입자는 연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저소득층 우선 모집이 이루어지므로 해당 소득구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연금 수령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60세부터 5년간 분할 수령이 가능하며, 매월 정해진 금액을 지원받게 됩니다.
이전 글: 2025 부담경감크레딧 지급일 신청 일정 완전 정복 가이드